서구 자본주의, 동양의 신비주의에서 영감을 찾다

서구 자본주의, 동양의 신비주의에서 영감을 찾다

2013년 11월 16일, 이코노미스트

【중략】

구글은 “너 자신의 내면을 검색하라”(Search inside yourself)라고 불리는 내면을 관찰하는 코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코스가 매우 인기를 끌자 구글은 “신경 자체 해킹”, “당신의 에너지를 관리하라” 등과 같은 초급 수준의 코스를 만들어냈다. 구글은 또한 산책 명상을 위해 미로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이베이는 베개와 꽃을 갖춘 명상 공간을 마련해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마음 챙김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고 있다. 트위터의 창립자 중 하나인 윌리엄스 조차 새로 설립한 오비어스 코포레이션에서 정기적으로 명상 세션을 도입했다.

이러한 트렌드는 실리콘 밸리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마음 챙김 운동은 기업 세계의 모든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루퍼트 머독은 뛰어난 “헛소리 탐지기”가 있다[1]. 그러나 올해 초 머독은 명상에 대한 관심을 트위터에 올렸다 (이에 대해 그는 “모든 사람이 추천한다”고 말했다).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의 레이 달리오와 핌코[2]의 빌 그로스는 자산 관리 분야의 거물들이자 모두 정기적으로 명상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달리오는 명상이 그 어떤 것보다 자신의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한다.

【중략】

요가와 명상 지도자이자 열렬한 트위터 이용자인 소렌 골드해머는 위스덤 2.0이라는 마음 챙김 컨퍼런스를 설립했다. 의료 장비 회사인 메드트로닉의 전 사장이자 골드만삭스의 이사인 빌 조지는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에서 마음 챙김을 소개했다. “자기 인식과 자기 연민”을 가진 리더를 양성하고자 함이었다.

많은 다른 비즈니스 스쿨들 역시 마음 챙김을 받아들이고 있다. 클레어몬트 대학의 드러커 경영 대학교의 제레미 헌터는 학생들에게 마음 챙김을 가르치고 있다. 스위스 IMD의 벤 브라이언트도 마찬가지다. 네브레스카 링컨 대학 비즈니스 스쿨의 돈드 플라우만은 매니지먼트 스쿨들의 마음 챙김을 정량화하고자 시도하기도 한다.

【중략】

마음 챙김의 일부 기술이 상당한 심리적, 생리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실제적인 증거들이 있다. 듀크 대학 의과 대학은 일 주일에 한 시간의 요가는 직원들의 스트레스 지수를 3분의 1로 줄여주며 건강 관리 비용을 연 평균 2000 달러 줄여준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1] 다른 사람들의 헛소리를 잘 구분한다는 뜻.

[2] 세계 최대 채권펀드

(마음 챙김 사업)

디팍초프라(Dr. Deepak Chopra)를 알다!

디팍초프라(Dr. Deepak Chopra)를 알다!

“우리는 평화롭고,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세상을 함께 만들 수 있다.”
“Together we can help create a peaceful, just, sustainable and healthy world.”
-디팍초프라 홈페이지 메인타이틀www.deepakchopra.com-

Dr. Deepak Chopra

1947년 10월, 인도 뉴델리 출생(만 66세). 국적 미국. 세계적인 영성철학자이자 대체의학자.
인도 뉴델리에서 태어나 하버드 의대에서 공부했다. 고대 인도의 전통 치유 과학인 아유르베다와 현대의학을 접목하여 ‘심신상관의학’을 창안, 대체 의학 분야의 선구자가 되었다. 전인적 건강과 인간의 잠재 능력에 관한 연구로 세계에 널리 알려진 그는 인간의 몸과 마음에 관해 60권 이상의 책을 썼다. 이중 다수가 85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뉴욕타임스 등에서 선정한 베스트셀러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영성 분야에서 지도적인 인물로 인정받으며, 전 세계에서 심신의 건강과 행복에 관해 강연하고 있다.

 

 

 

 

Deepak Chopra”s 한마디 

즐거움 혹은 기쁨에 있는 것은 우리의 본래 모습이다.
Being joyful is our natural state of being. (디팍초프라_2014.09.02)

(www.deepakchopra.com)

디팍초프라의 ‘부모수업’

디팍초프라의 ‘부모수업’(2013/한문화) (영문:The seven spiritual laws for parents 1997)

생명은 결코 누구도 소유할 수 없다.

생명을 그대의 손바닥 위에 올려놓을 수는 있으나, 주먹을 쥐는 순간 빠져나간다.

세상의 모든 부모들이 아이들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아이들을 파괴해왔다.

하지만 생명은 어디까지나 풍요로운 존재의 선물이다.

그대가 그 생명이 탄생하는 도구로 선택된 것에 감사하라.

아이는 그대를 통하여 세상에 나왔지만, 그렇다고 그대에게 소속된다는 뜻은 아니다.

그대는 단지 통로였을 뿐이다.

-오쇼 라즈니쉬-

(‘부모수업’ 책 첫 장에 인용된 글)

이 책은 ‘부모는 아이의 영적 교사다’라는 말로 시작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의심할 것도 없이 성공의 본질이 물질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돈이나 명예, 혹은 재산의 많고 적음을 성공의 척도로 삼는 이유다. 물론 인생을 평가하는 한 가지 요소일 수는 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성공한 인생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우리 아이들이 성취하기를 바라는 성공은 비물질적인 잣대로도 평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랑을 나누고 자비를 베푸는 능력, 기쁨을 느낄 줄 알고 그것을 주위에 퍼뜨리는 능력, 인생의 진정한 목표를 이해하는 데서 비롯한 자신감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자신이 우주만물의 창조력과 연결되어 있다는 자각을 포함해야 한다. 이런 것들은 모두 내면을 진정으로 충적시켜주는 영적인 관점에서 성공이 갖추어야 하는 구성요소다. (중략)

그러므로 부모로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자녀들이 영적 탐구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 일은 돈이나 안락한 집, 아이에게 사랑을 퍼붓는 것보다 훨씬 나은 일이고, 부모가 자녀의 성공을 위해 해줄 수 있는 최선이기도 하다. -《디팍초프라의 부모수업》본문에서-

그러면서 다음과 같이 아이의 영혼을 깨우는 일곱 가지 지혜를 제시한다.

일요일- 순수 잠재력의 날 “난 뭐든지 할 수 있다.”

월요일- 베풂의 날 “무언가를 바란다면 먼저 그걸 베풀어라.”

화요일- 인과응보의 날 “네가 지금 내리는 선택에 따라 네 미래가 달라진단다.”

수요일- 최소 노력의 날 “거부하지 말로 흘러가는 대로 따라가 보렴.”

목요일- 관심과 소망의 날 “뭔가를 바라고 과심을 기울이는 것 자체가 ‘소망의 씨앗’을 심는 일이란다.”

금요일- 초연함의 날 “삶을 여행하듯이 즐기렴.”

토요일- 다르마(삶의 목적)의 날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난 건 뭔가 이유가 있어서란다.”

디팍초프라 본인의 경험을 들며 따뜻하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책

(2013/한문화)

Deepak Chopra”s Book
세계적 힐링 멘토 디팍 초프라, 국내에는 어떤 책이 출간됐을까?

그는 인간의 몸과 마음과 영성의 세계를 폭넓게 다룬 많은 저서를 냈습니다. 동양철학과 서양의학을 접목한 독창적인 건강론과 행복론은 그의 글의 주된 특징이기도 합니다. 현재 국내에는 명상, 종교, 자기계발, 부모교육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약 15~20권정도의 서적이 번역되었습니다. 주요저서《우주 리듬을 타라》《디팍초프라의 완전한 행복》《디팍초프라의 부모수업》《디팍초프라의 완전한 삶》《성공을 부르는 일곱가지 영적법칙》《사람은 왜 늙는가》등. 이 중 몇 권을 소개합니다.

디팍초프라의 ‘완전한 행복’(2013/한문화) (영문: The Ultimate Happiness Prescription 2009)

그는 이렇게 시작한다.
우리가 결국 삶에서 바라는 것은 무엇인가. 의사로서 환자들을 고치며 환자가 병을 낫고자 하는 이유, 환자가 결국 병이 나았을 때 살아가고자 하는 이유 등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그의 환자들, 혹은 우리 모두가 바라는 건 ‘행복’이라고 말한다.
오늘날 ‘행복’은 사회 전반에 걸친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물론 거기에는 진정 행복할 수 있는가, 혹시 신기루를 쫒고 있는 것 아닌가하는 여러 쟁점들도 있다. 이런 가운데 ‘긍정심리학’이라는 이름의 행복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소냐 루보머스키, 마틴 셀리오넌 등은 다음과 같이 ‘행복방정식’을 고안해냈는데,

행복=세트포인트+삶의 조건+자발적 행동
(Happiness=Set Point+Condition of living+Voluntary Activities)

이에 대해 디팍 초프라는 행복을 정의하는데 효과적인 방식이기는 하지만, 진정한 행복을 밝히는 데는 다소 미흡하다고 한다. 그리고 ‘완전한 행복’으로 가는 7단계에 대해 제시한다.

(2013/한문화}

서구 자본주의, 동양의 신비주의에서 영감을 찾다

서구 자본주의, 동양의 신비주의에서 영감을 찾다

2013년 11월 16일, 이코노미스트

 

【중략】

구글은 “너 자신의 내면을 검색하라”(Search inside yourself)라고 불리는 내면을 관찰하는 코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 코스가 매우 인기를 끌자 구글은 “신경 자체 해킹”, “당신의 에너지를 관리하라” 등과 같은 초급 수준의 코스를 만들어냈다. 구글은 또한 산책 명상을 위해 미로를 만들어내기도 했다. 이베이는 베개와 꽃을 갖춘 명상 공간을 마련해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은 마음 챙김 경쟁에서 앞서가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고 있다. 트위터의 창립자 중 하나인 윌리엄스 조차 새로 설립한 오비어스 코포레이션에서 정기적으로 명상 세션을 도입했다.

이러한 트렌드는 실리콘 밸리에만 국한된 것은 아니다. 마음 챙김 운동은 기업 세계의 모든 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루퍼트 머독은 뛰어난 “헛소리 탐지기”가 있다[1]. 그러나 올해 초 머독은 명상에 대한 관심을 트위터에 올렸다 (이에 대해 그는 “모든 사람이 추천한다”고 말했다). 브리지워터 어소시에이츠의 레이 달리오와 핌코[2]의 빌 그로스는 자산 관리 분야의 거물들이자 모두 정기적으로 명상을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달리오는 명상이 그 어떤 것보다 자신의 성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말한다.

【중략】

요가와 명상 지도자이자 열렬한 트위터 이용자인 소렌 골드해머는 위스덤 2.0이라는 마음 챙김 컨퍼런스를 설립했다. 의료 장비 회사인 메드트로닉의 전 사장이자 골드만삭스의 이사인 빌 조지는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에서 마음 챙김을 소개했다. “자기 인식과 자기 연민”을 가진 리더를 양성하고자 함이었다.

많은 다른 비즈니스 스쿨들 역시 마음 챙김을 받아들이고 있다. 클레어몬트 대학의 드러커 경영 대학교의 제레미 헌터는 학생들에게 마음 챙김을 가르치고 있다. 스위스 IMD의 벤 브라이언트도 마찬가지다. 네브레스카 링컨 대학 비즈니스 스쿨의 돈드 플라우만은 매니지먼트 스쿨들의 마음 챙김을 정량화하고자 시도하기도 한다.

【중략】

마음 챙김의 일부 기술이 상당한 심리적, 생리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는 실제적인 증거들이 있다. 듀크 대학 의과 대학은 일 주일에 한 시간의 요가는 직원들의 스트레스 지수를 3분의 1로 줄여주며 건강 관리 비용을 연 평균 2000 달러 줄여준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1] 다른 사람들의 헛소리를 잘 구분한다는 뜻.

[2] 세계 최대 채권펀드

(마음 챙김 사업)

디팍초프라(Dr. Deepak Chopra)를 알다!

디팍초프라(Dr. Deepak Chopra)를 알다!

“우리는 평화롭고, 지속가능하고, 건강한 세상을 함께 만들 수 있다.”
“Together we can help create a peaceful, just, sustainable and healthy world.”
-디팍초프라 홈페이지 메인타이틀www.deepakchopra.com-

Dr. Deepak Chopra

1947년 10월, 인도 뉴델리 출생(만 66세). 국적 미국. 세계적인 영성철학자이자 대체의학자.
인도 뉴델리에서 태어나 하버드 의대에서 공부했다. 고대 인도의 전통 치유 과학인 아유르베다와 현대의학을 접목하여 ‘심신상관의학’을 창안, 대체 의학 분야의 선구자가 되었다. 전인적 건강과 인간의 잠재 능력에 관한 연구로 세계에 널리 알려진 그는 인간의 몸과 마음에 관해 60권 이상의 책을 썼다. 이중 다수가 85개 이상의 언어로 번역되었으며, 뉴욕타임스 등에서 선정한 베스트셀러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영성 분야에서 지도적인 인물로 인정받으며, 전 세계에서 심신의 건강과 행복에 관해 강연하고 있다.

 

 

 

 

 

Deepak Chopra”s 한마디 

즐거움 혹은 기쁨에 있는 것은 우리의 본래 모습이다.
Being joyful is our natural state of being. (디팍초프라_2014.09.02)

(www.deepakchopra.com)

디팍초프라의 ‘부모수업’

디팍초프라의 ‘부모수업’(2013/한문화) (영문:The seven spiritual laws for parents 1997)

생명은 결코 누구도 소유할 수 없다.

생명을 그대의 손바닥 위에 올려놓을 수는 있으나, 주먹을 쥐는 순간 빠져나간다.

세상의 모든 부모들이 아이들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하면서 아이들을 파괴해왔다.

하지만 생명은 어디까지나 풍요로운 존재의 선물이다.

그대가 그 생명이 탄생하는 도구로 선택된 것에 감사하라.

아이는 그대를 통하여 세상에 나왔지만, 그렇다고 그대에게 소속된다는 뜻은 아니다.

그대는 단지 통로였을 뿐이다.

-오쇼 라즈니쉬-

(‘부모수업’ 책 첫 장에 인용된 글)

이 책은 ‘부모는 아이의 영적 교사다’라는 말로 시작한다. 그리고 다음과 같이 말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의심할 것도 없이 성공의 본질이 물질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돈이나 명예, 혹은 재산의 많고 적음을 성공의 척도로 삼는 이유다. 물론 인생을 평가하는 한 가지 요소일 수는 있다. 하지만 그것만으로 성공한 인생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우리 아이들이 성취하기를 바라는 성공은 비물질적인 잣대로도 평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랑을 나누고 자비를 베푸는 능력, 기쁨을 느낄 줄 알고 그것을 주위에 퍼뜨리는 능력, 인생의 진정한 목표를 이해하는 데서 비롯한 자신감 그리고 궁극적으로는 자신이 우주만물의 창조력과 연결되어 있다는 자각을 포함해야 한다. 이런 것들은 모두 내면을 진정으로 충적시켜주는 영적인 관점에서 성공이 갖추어야 하는 구성요소다. (중략)

그러므로 부모로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자녀들이 영적 탐구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이 일은 돈이나 안락한 집, 아이에게 사랑을 퍼붓는 것보다 훨씬 나은 일이고, 부모가 자녀의 성공을 위해 해줄 수 있는 최선이기도 하다. -《디팍초프라의 부모수업》본문에서-

그러면서 다음과 같이 아이의 영혼을 깨우는 일곱 가지 지혜를 제시한다.

일요일- 순수 잠재력의 날 “난 뭐든지 할 수 있다.”

월요일- 베풂의 날 “무언가를 바란다면 먼저 그걸 베풀어라.”

화요일- 인과응보의 날 “네가 지금 내리는 선택에 따라 네 미래가 달라진단다.”

수요일- 최소 노력의 날 “거부하지 말로 흘러가는 대로 따라가 보렴.”

목요일- 관심과 소망의 날 “뭔가를 바라고 과심을 기울이는 것 자체가 ‘소망의 씨앗’을 심는 일이란다.”

금요일- 초연함의 날 “삶을 여행하듯이 즐기렴.”

토요일- 다르마(삶의 목적)의 날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난 건 뭔가 이유가 있어서란다.”

디팍초프라 본인의 경험을 들며 따뜻하게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책

(2013/한문화)

Deepak Chopra”s Book
세계적 힐링 멘토 디팍 초프라, 국내에는 어떤 책이 출간됐을까?

그는 인간의 몸과 마음과 영성의 세계를 폭넓게 다룬 많은 저서를 냈습니다. 동양철학과 서양의학을 접목한 독창적인 건강론과 행복론은 그의 글의 주된 특징이기도 합니다. 현재 국내에는 명상, 종교, 자기계발, 부모교육 등 여러 분야에 걸쳐 약 15~20권정도의 서적이 번역되었습니다. 주요저서《우주 리듬을 타라》《디팍초프라의 완전한 행복》《디팍초프라의 부모수업》《디팍초프라의 완전한 삶》《성공을 부르는 일곱가지 영적법칙》《사람은 왜 늙는가》등. 이 중 몇 권을 소개합니다.

디팍초프라의 ‘완전한 행복’(2013/한문화) (영문: The Ultimate Happiness Prescription 2009)

그는 이렇게 시작한다.
우리가 결국 삶에서 바라는 것은 무엇인가. 의사로서 환자들을 고치며 환자가 병을 낫고자 하는 이유, 환자가 결국 병이 나았을 때 살아가고자 하는 이유 등 근원적인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그의 환자들, 혹은 우리 모두가 바라는 건 ‘행복’이라고 말한다.
오늘날 ‘행복’은 사회 전반에 걸친 주요 이슈 중 하나이다. 물론 거기에는 진정 행복할 수 있는가, 혹시 신기루를 쫒고 있는 것 아닌가하는 여러 쟁점들도 있다. 이런 가운데 ‘긍정심리학’이라는 이름의 행복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소냐 루보머스키, 마틴 셀리오넌 등은 다음과 같이 ‘행복방정식’을 고안해냈는데,

행복=세트포인트+삶의 조건+자발적 행동
(Happiness=Set Point+Condition of living+Voluntary Activities)

이에 대해 디팍 초프라는 행복을 정의하는데 효과적인 방식이기는 하지만, 진정한 행복을 밝히는 데는 다소 미흡하다고 한다. 그리고 ‘완전한 행복’으로 가는 7단계에 대해 제시한다.

(2013/한문화}